728x90 중위소득5 역대 최대 인상! 2024년부터 이만큼 돈 벌면 4인 기준 매월 183만원 드려요~ 내년에는 훨씬 더 많은 국민들이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국민 취업지원제도부터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 ,평생교육 바우처 등 13개 정부 부처, 총 73개 각종 복지제도 기준이 되는 기준 중위소득과 각 급여별 선정기준이 새롭게 변경됐는데요. 정부 수립 이래 역대 최대로 지원 기준을 인상하면서 복지 대상자가 더 확대되고 대상자 선정 기준도 상향되면서 복지 혜택을 받는 국민들이 더 많아집니다. 따라서 올해까지 정부 지원금이나 각종 복지 제도의 대상자로 되지 못했던 분들도 내년에는 신청대상자가 될 수 있는데요. 오늘은 내년부터 인상되는 복지제도의 정확한 정부지원금 액수와 각종 복지제도의 대상 기준 등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매년 이 시기에는 다음 해 기준 중위소득하고 급여별 선정 기준을 보건복지부 장관.. 2023. 8. 2. 7월 25일부터 최초로 지급되는 3가지!!! (기회소득, 기본소득, 안심소득) 오늘은 새로운 복지 제도 세 가지를 소개해 드릴 건데요. 모두 현금을 직접 지급하는 제도로 굉장히 실험적이면서 파격적인 복지 제도입니다. 첫 번째는 이번 주 7월 25일에 첫 지급 시작되는 기회소득 두 번째는 전 국민에게 확대될 수도 있는 기본소득 세 번째는 도입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정책실험의 성격으로 현재 진행 중인 안심소득인데요. 세 가지 모두 처음 들어본 제도 도입 초창기이기도 하고, 현금을 지원하는 복지 제도라서 복지에 대한 가치관에 따라 찬반 논란이 많은 제도들입니다. 우리나라는 인구 감소 문제가 굉장히 심각해서 최근에는 인구 소멸 위기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지만 수도권의 인구가 집중되는 현상은 오히려 더 가속화되고 있는데요. 그러다 보니 지역 불균형은 더 심해지고, 세금으로 운영되는 복지제.. 2023. 7. 24. 8월 21일까지 마감! 월 20만원씩 딱~ 1년만 지원합니다(청년월세 특별지원제도) 오늘은 딱 1년 동안만 한시적으로 지원하고 곧 신청이 마감되는 복지제도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최근 한 부동산 플랫폼 업체에서 설문조사를 했는데요. 응답자 중 1 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45%, 거주지 형태는 월세가 68%로 전세보다 훨씬 비율이 높았습니다. 아무래도 젊은 층들이 더 많이 이용하는 앱이라서 1 인 가구와 월세 비중이 높게 나왔겠지만, 나이가 어릴수록 소득에 비해 주거비 부담이 큰 건 당연한 것 같은데요. 오늘 소개해 드리는 내용은 정부에서 월세의 일부를 지원해주는 제도로 중요한 건 주거급여처럼 항상 있는 복지제도가 아니라 말 그대로 한시적으로 딱 한 번만 특별하게 지원하는 정부 사업이라서 이번에 기회를 놓치면 다시는 받을 수 없 없다는 점입니다. 최초의 이 제도가 시작된 시점에 자격이.. 2023. 7. 14. 가사 지원 서비스(6월27일부터 신청시작!) 요즘에는 여성들의 경제활동이 늘어나고 1 인 가구 증가 등 가구 구성이 다양해지면서 직장에서의 일과 집안일 두 가지를 병행해야 많아졌는데요. 일상생활 속에서 필수적인 일이지만 정부에서 집안일까지 복지 차원에서 도와주는 제도는 최근까지 없었습니다. 하지만 보건복지부에서 가사 지원 서비스 시범 사업을 시작했는데요. 신청 자격의 소득 기준이 없거나 기존 중위소득 150%까지라서 2 인 가구 기준 약 518 만 원, 3 인 가구 기준 약 660만 원 정도의 중산층까지 무료 또는 적은 자부담금으로 가사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비스 내용은 대략 월 4회 정도 가정을 방문해서 1회에 4 시간 정도 청소 ,세탁, 정리정돈 등의 가사 서비스를 지원하는 건데요, 6월 27일부터 신청이 시작되고 7월부터 서비스 .. 2023. 6. 20. 이전 1 2 다음 728x90